게시판

‘저 횃불처럼 나도 뭔가 되고 말겠어!

sans339
2025.10.23 17:02 8 0

본문

부재중자동문자 ‘저 횃불처럼 나도 뭔가 되고 말겠어!’1983년 3월 28일, 새벽 비가 부슬부슬 내리던 이탈리아 로마의 베네치아 광장. 모두가 잠든 어둠 속 한 동양인 유학생의 마음 깊은 곳에서 작은 불꽃이 피어올랐다. ‘오페라의 본고장’에 막 도착한 스물한 살 조수미였다. 세계적인 ‘프리마돈나’(오페라의 주역 여성 성악가)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홀로 떠나온 유학길. 붉게 일렁이는 횃불을 바라보는 조수미의 큰 눈망울에 두려움 대신 기대가 가득 찼다. 세계 오페라 무대를 평정한 ‘신이 내린 목소리’의 시작이었다.연말 마카오서 데뷔 공연4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조수미는 변함없이 세계 각지의 무대에 오른다. 더 이상 이룰 게 없는 정상의 자리에서도 새로운 다짐을 품는다. 횃불처럼 활활 불태우던 젊은 날의 열정을 오래도록 지키며 “꺼지지 않는 은은한 불꽃이 되고 싶다”는 그를 최근 마카오에서 만났다.황금빛 호텔들로 빛나는 도시 마카오. 그 풍경을 닮은 듯한 금빛 드레스의 조수미가 취재진 앞에 섰다. 오는 12월 28일 마카오 최대 럭셔리 리조트 그룹 갤럭시마카오가 여는 ‘갤럭시 뮤직 갈라: 매드 포 러브’를 앞두고서다. 이번이 첫 마카오 방문인 조수미는 공항에 내리자마자 20대 이탈리아 유학 시절을 떠올렸다고 했다. 새벽 3시, 마카오 공항에 도착한 시간이 40여 년 전 로마 공항에 첫발을 디딘 그때와 우연찮게 겹쳤다. “당시 제일 저렴한 비행기 티켓으로 서울에서 도쿄, 홍콩을 거쳐 로마에 갔어요. 그때 마중 나오기로 한 지인이 공항에 나타나지 않아 고생했죠. 처음 유학 갔을 땐 정말 힘들었어요.”조수미는 1983년 로마 명문 산타체칠리아 음악원에 입학해 5년 과정을 2년 만에 졸업했다. 1986년에는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베르디 극장에서 오페라 ‘리골레토’의 여자 주인공 질다 역으로 유럽 무대에 데뷔했다. 전설의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이 조수미에게 “신이 내린 목소리”라는 극찬을 남긴 것도 이 무렵이었다. 이후 밀라노 라 스칼라, 파리 국립 오페라, 빈 국립 오페라 등 세계 5대 왼쪽부터 안무가 이지현, 박수윤, 정소연(국립극장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젊은 안무가들이 기술·자아·죽음을 주제로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신작을 선보인다.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은 '2025 안무가 프로젝트'를 오는 11월 6일부터 9일까지 서울 중구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전통 공연예술 분야의 신진 창작자와 예술가를 육성하는 '가치 만드는 국립극장' 사업의 하나로, 지난 2월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정소연·이지현·박수윤 세 안무가의 신작을 트리플빌(Triple Bill) 형식으로 선보인다. 각 작품은 약 30분 길이로 구성된다.첫 무대는 정소연의 '너머'다. 인공지능(AI) 시대의 인간 존재를 탐구하는 이 작품은 발광다이오드(LED) 영상이나 기술 장치를 배제하고, 오히려 아날로그적 무대를 통해 'AI와 인간의 공존'을 역설적으로 표현한다. 전통 장단 위에 브라스 밴드의 재즈 리듬과 EDM(전자 댄스 음악)을 교차시켜 유머러스하면서도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지현 '옷' 연습하는 무용수들 모습(국립극장 제공) 이지현의 '옷'은 '옷'이라는 글자의 형태가 사람의 몸과 닮았다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사회적 틀 속 '입혀진 자아'를 탐구하며, 옷과 옷걸이를 각각 외부의 시선과 사회적 기준의 상징으로 풀어낸다. 오브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리듬감 있는 장면 전환으로 감각적인 무대를 선보인다.박수윤의 '죽 페스'('죽음 페스티벌'의 준말)는 죽음을 삶의 완성으로 바라보며 장례를 축제로 전환한다. 거울을 이용해 관객이 스스로를 마주하게 하고, 휘파람·종소리·숨소리 등 가공되지 않은 사운드와 라이브 밴드 음악으로 생생한 장면을 그린다. 작품은 '삶의 끝에서 어떤 춤으로 작별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한편 2023년 시작한 '안무가 프로젝트'는 신진 안무가 육성 프로그램이다. 창작자에게는 실험의 장을, 관객에게는 다채로운 작품을 만날 기회를 제공해 왔다. 그동안 최호종, 정보경, 이재화 등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현재 한국 무용계를 이끌 차세대 창작자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무용단 '2025 안무가프로젝트' 포스터(국립극장 제공) jsy@new 부재중자동문자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